ISO 19443은 원자력 안전에 중요한 제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원자력에너지분야 공급망 내 조직에 ISO 9001(2015년) 적용을 위한 품질경영시스템 특정 요구사항으로써 2018년 5월에 초판이 발행된 국제표준이다. 산업계에 종사하는 직원들은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 하면 ISO 9001을 떠올릴 것이므로 먼저 ISO 19443이 태동된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1. 배경
원자력산업계에 종사하는 직원들이 아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 및 미국은 원자력안전 관련 품목에 KEPIC-QAP(원자력 품질보증)과 ASME NQA-1(Quality Assurance Requirements for Nuclear Facility Applications) 상 18개 요구사항을 적용하여 품질보증계획을 구축하고 있다. 반면, 유럽지역내 국가들은 IAEA 안전표준과 ISO 9001을 적용하여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해 왔는데 IAEA는 원자력 안전 통합경영시스템인 GSR Part 2를 2016년 개정하였으며 ISO는 ISO 19443을 2018년에 제정하였다. IAEA 안전표준의 변화와 더불어 적용되고 있는 ISO 표준과 ASME NQA-1을 비교하여 그림 1에 표기해 보았다.
또한, 최근 유럽 및 중동지역의 원전수출 추진국가인 체코, 폴란드,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유럽운영자요건인 EUR Rev.E(2016년) 내 품질보증프로그램 요건인 IAEA GSR Part 2와 ISO 9001(2015년)의 적용을 요구하며 참조표준으로 ISO 19443을 제시하고 있으며, ISO 19443은 IAEA GSR Part 2와 ISO 9001 간의 연결을 제공하므로 유럽지역에서 인증을 준비하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원자력산업계에도 적용을 대비하기 위해 대한전기협회는 KEPIC 2020년판 QAP-4 4.3항, ‘IAEA 참조기준 적용지침’에 IAEA GSR Part 2 번역본을 반영한 사례와 유사하게 KEPIC-QAP 내에 ISO 19443 도입방안의 반영을 추진하게 됐다.
2. 대한전기협회 추진계획
상기와 같은 배경을 근거로 KEPIC 품질보증분과위원회 산하에 2022년 9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10차에 걸쳐 ‘ISO 19443의 KEPIC 반영 추진계획(안)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기술, 한전KPS, 두산에너빌리티의 품질보증 전문가가 참여하는 소위원회를 운영했다. 소위원회의 주요 역무는 ISO 19443(2018년) 초벌번역본을 검토 후 최종번역본을 완성하고 ISO 19443과 KEPIC-QAP-1을 비교분석해 KEPIC-QAP 반영(안)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현재 KEPIC 홈페이지(열람>제·개정 초안)를 통해 KEPIC-QAP 반영(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 중(~2024.12.31.)이며, 의견 수렴 완료 후 KEPIC 품질보증 분과위원회에서 심의 예정이다.
3. ISO 19443의 국내 인증제도 도입
국내 경영시스템 인증기관, 자격인증기관, 검증기관 등의 적합성평가기관인 한국인정지원센터(KAB)는 한국수력원자력의 요청으로 2023년 하반기에 ISO 19443의 국내 인증제도 도입을 추진하였다. KAB는 ISO 9001 등의 경영시스템에 대하여 국제인정기구포럼(IAF) 내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등 19개 외국인정기관과 상호인정협력 등에 대한 MOU 체결로 국제상호인정을 보장받고 있으며 그림 2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해외의 경우 영국 UKAS, 프랑스 Cofrac 등이 ISO 19443 인정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국내업체 중에서는 인증기관인 TUV SUD로부터 프랑스 Cofrac 인정 하에 2022년 6월에 두산에너빌리티가 최초로 인증을 받은 바 있다.
KAB는 ISO 19443 및 ISO/TS 23406 [원자력분야 – 원자력에너지분야 공급망에 원자력 안전 에 중요한 제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조직의 품질경영시스템 심사 및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의 요구사항]에 대한 KAB 인정기술위원회 구성 및 운영, KAB 인정기준 제정, ISO 19443 인정평가사/기술전문가 양성 및 확보, KAB 인정기준 공표 및 인정서비스 개시 등을 통해 국내 인증제도를 도입하였으며, 2024년 8월 현재 (재)한국품질재단, 케이인증원㈜, ㈜케이에스알인증원, 한국 표준협회, 키와코리아㈜, ㈜아이씨알 등 6개 국내 인증기관들이 ISO 19443 인증기관으로써 인정받아 인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 ISO 19443 원자력 안전 요구사항 번역
ISO 19443의 KEPIC 반영 추진계획(안) 소위원회에서는 ISO 9001(2015년) 요구사항은 KS Q ISO 9001(2015년)을 준수해 ISO 19443 번역본의 박스 안에 배치하고, ISO 19443 내 원자력 안전 요구사항은 KS Q ISO 9001 상 용어 및 KEPIC-QAP(IAEA GSR Part 2 번역 포함) 상 용어를 준용하여 그림 3과 같이 번역하였다.
ISO 19443에 기술된 주요 원자력 안전 요구사항은 원자력안전문화, 원자력안전에 중요한 품목 및 활동의 결정, 품질요구사항 적용에 대한 차등적 접근법, 품질경영시스템 이행 시 원자력 안전을 고려(외부 및 내부 이슈, 리더십/의지표명, 품질방침/목표, 자원 결정 및 제공), 문서화된 정보 유지, 원자력 안전 및 품질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조직상의 독립성과 권한을 가진 조직 경영진의 구성원 임명, 사업관리/형상관리/일정 및 인터페이스 관리 고려, 위조/변조/의심 품목(CFSI) 예방, 설계와 개발 검증 및 실현성 확인시험, 일반규격품목 및 활동 검증, 인원의 자격부여, 작성자 이외의 인원에 의한 검토, 외부공급자의 프로세스/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 보완, 고객 요구사항/법적 및 규제 요구사항, 모니터링 및 측정 활동/식별/보존/부적합 요구사항 보완, 경영검토/개선기회에 원자력경험에 의한 교훈 포함 등이다.
5. KEPIC-QAP-1과 ISO 19443 비교 분석
또한, ISO 19443의 KEPIC반영 추진계획(안) 소위원회에서는 KEPIC-QAP-1과 ISO 19443 비교분석에 대해 신뢰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기존에 ASME NQA-1로부터 번안된 KEPIC-QAP-4 4.1.1 [KEPIC-QAP-1, 2015판 요건을 만족하는 ISO 9001:2015 품질경영시스템의 개정을 위한 지침]을 참고하여 비교검토하였다. KEPIC-QAP-4 4.1.1 지침은 ISO 9001 경영시스템이 KEPIC-QAP-1 요건을 만족하기 위한 비교 및 권고사항을 제시한 반면, ISO 19443 비교검토 시에는 반대관점으로 KEPIC-QAP 품질보증계획이 ISO 19443 품질경영시스템 요건을 만족하기 위한 비교 및 권고사항을 KEPIC-QAP-4 4.1.1 지침 수준으로 제시하였으며 비교결과 예시는 표 1과 같다. 이와 같은 비교방식의 변화는 본 지침이 KEPIC-QAP를 기준으로 품질보증프로그램을 운영중인 국내 원자력공급자들이 ISO 19443을 추가로 만족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ISO 19443 최종 번역본과 비교분석 결과는 정리되어 2023년 12월에 초안개발을 완료했다.
6. KEPIC-QAP-1, 2020년 판 품질보증계획의 개정을 위한 지침
KEPIC-QAP-1과 ISO 19443 비교분석 결과는 [ISO 19443:2018 품질경영시스템 요건을 만족하는 KEPIC-QAP-1, 2020년 판 품질보증계획의 개정을 위한 지침]으로 정리되어 KEPIC 품질보증 분과위원회 보고를 거쳐 현재 원자력산업계 의견 수렴을 위해 KEPIC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게 되었다. KEPIC 홈페이지 ‘정보센터’ 및 ‘열람 > 제·개정 초안’ 페이지에서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 홈페이지 : www.kepic.org). 원자력산업계 의견 수렴이 되면 KEPIC 품질보증 분과위원회에서 심의 후 기술품질전문위원회 승인을 거쳐 2024년 KEPIC-QAP 추록 또는 2025년 판에 반영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ISO 19443의 원자력에너지분야 공급망 내 조직 적용범위, 인증 필요여부, KEPICMN/SN/EN 인증과의 관계 등은 원전수출국가의 규제기관 및 인허가소지자와의 사전 합의하에 입찰 및 계약협상 단계에서 결정이 필요한 사안이라 판단된다.
원성호 ISO 19443의 KEPIC 반영 추진계획 검토 소위원회 위원장(한국전력기술 부장)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