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관리 현실태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지난 1974년부터 주택, 가로등, 공공설비 등에 설치된 일반용전기설비에 대해 인력을 중심으로 1~3년에 한 번씩 방문·대면 점검 형태의 전기안전점검을 수행했다. 기존 방문점검은 생활방식 변화(1인 가구 증가 등) 및 감염병 확산, 노후화된 전기설비 증가, 다양한 전기제품 사용량 급증 등 안전관리 한계에 봉착해 있다. 또한 안전관리자의 노하우에 기반한 현장점검 전기안전관리 방식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현실이 최근 5년간 약 20% 전후로 답보 중인 전기화재 점유율을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 실행 방안이 요구됐다.
상시·비대면 원격점검체계 도입
원격점검체계 도입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전기안전관리법 개정을 추진해 4차 산업기술(ICT·IoT)을 활용한 상시·비대면 원격점검 제도를 도입했다. 상시·비대면 원격점검이란 일반용전기설비에 원격점검 장치를 설치해 과전압, 과전류 누전 등 전기안전 데이터를 관제센터에서 수집·분석해 전기재해 위험이 높은 설비의 소유자나 거주자에게 점검신청토록 안내 및 방문점검 방식의 전기재해를 사전 예방을 위한 제도이다. 또한 원격점검장치의 국가표준 제정(2022.3.) 및 도로조명설비의 설치 의무화를 위한 기술기준 개정(2025년 1월 공포 예정) 중에 있다.
전기안전관리 DX전환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원격점검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기술수준, 보급 용이성 등을 고려해 2024년까지 1단계 전국 가로·신호등을 대상으로 선도적으로 원격점검 인프라를 구축·운영 중에 있으며, 이후 2단계 전기재해 취약계층과 3단계 모든 일반주택 등으로 단계적 확산·보급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다.
디지털 전기안전관리 추진방향
디지털 기반 전기안전관리는 일반 국민의 안전한 일상생활 조성과 선진국 수준의 전기재해감축에 있고, 이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과제로 원격점검제도의 보편적 보급을 위한 장치 제조 기술의 향상과 전기설비 위험도 평가 알고리즘의 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원격점검장치 제조 기술은 단상 전기설비에 국한되어 있어 전기재해 파급력이 큰 산업시설, 전통시장 등 저압3상 전기설비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과 더불어 일반용전기설비의 신속한 원격점검체계 확산 및 보급을 위해 지능형 전력량계(AMI) 융합 디바이스 보급을 위한 정책 마련을 위해 노력 중에 있다 또한, 기술 발전과 함께 급격하게 다양해지는 전기설비에 대한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전기설비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안전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원격점검장치 고도화 및 AI기반의 관제 플랫폼 개발 등 연구개발(R&D) 및 정책연구 등으로 해결해 나갈 예정이다. 이는 전기안전 디지털 전환에 따른 민간부문 비즈니스 모델(장치제조, IOT통신, 위험예측) 창출 등 벤처·스타트업 기업 육성 등 전기안전 산업의 새로운 시장으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전기안전이란?
IoT, ICT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원격감시시스템은 국내·외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해 활용 중인 방식으로 선진화된 재난안전관리 체계의 첫 단추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원격점검 제도가 활성화되어 우리나라의 전기재해 예방에 일조하고, 모든 국민이 안심하고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한국전기안전공사 디지털전환기획팀 [email protected]